안녕하세요! 에듀셀파 독학기숙학원 견쌤입니다.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 1교시 국어가 얼마나 어렵고도 중요한 과목인지 잘 아실 거예요. 많은 수험생이 수없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다양한 기출문제를 풀어보지만 좀처럼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 원인은 어쩌면 ‘어휘력’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안녕하세요. 🙂
에듀셀파 독학기숙학원입니다.
저희는 2014년 최초로 독학기숙학원을 설립하고, 매년 압도적인 성과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2025년 서울대 16명, 의예과 38명, 카이스트 등 특수 대학 14명, 연고대 52명, 서성한 71명을 배출했습니다. (2025년 에듀셀파 학원 남양주/양평 대입결과, 중복합격자 포함)
어휘력 부족, 성적 정체의 숨겨진 원인
국어에서 ‘어휘력’은 단순히 단어를 외우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문장을 해석하는 데 필요한 기반 능력이자, 지문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 문해력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상이하다’라는 단어의 뜻을 혼동하거나, ‘사흘’과 ‘나흘’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문장의 정확한 의미 파악이 어렵습니다. 또한,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와 같은 표현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라면 선지를 고르는 데에도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는 학생들이 미디어나 SNS에 익숙한 신조어 중심의 언어 환경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전통적인 문어체 어휘에 대한 노출 빈도가 적어 해석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것입니다.
권용기 선생님 커리큘럼 : 개념 강의
국어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독서를 많이 한다고 해서 어휘력이 저절로 쌓이지는 않습니다.
📌 1. 독서는 '문해력'의 기반
독서 과목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글의 핵심을 파악하고,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문해력'입니다. 이는 어휘력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독서를 통해 키운 문해력이 바탕이 되어야 어휘력을 실제 지문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 문학에서는 시인이나 작가가 자신만의 언어로 의미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작품을 접하는 것이 앞으로 만날 생소한 지문 해석에 큰 도움이 됩니다.
📌 2. 문학 속 어휘력, 별도 정리가 필수
시, 소설, 희곡 등의 문학 작품에는 일상 언어와는 다른 생경한 어휘가 자주 등장합니다. 따라서 작품 해설을 참고하며 주요 단어들을 따로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이때 노트에 뜻과 함께 예문을 작성하면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
📌 3. 비문학(독서)에서도 어휘력은 중요하다
비문학 지문은 지식 전달 목적의 글이기 때문에, 구조적 독해가 핵심입니다. 하지만 지문 내 핵심 개념이나 주장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 이는 어휘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어휘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문장 간 연결의 논리를 쉽게 따라갈 수 있고, 이는 자연스럽게 독해 속도를 높이고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실전 어휘력 향상 공부 루틴 추천
<하위권 학생>
- 지문 분석 후 어휘 노트 만들기
- 수능 필수 어휘 교재 구입하여 따로 공부
- 매일 10~15개 단어 암기 + 예문 적용
<중위권~상위권 학생>
- 지문을 풀고 난 후 어휘 정리
- 익숙하지 않은 단어는 반드시 문맥 속에서 다시 보기
- 문학 작품별 어휘 정리 루틴화
<추천 학습 자료>
- 『수능 필수 어휘 1800』 – 출제 빈도가 높은 어휘만 정리
- 『국어 어휘의 기초』 – 개념어와 문학 어휘를 통합 정리
- 『문학 어휘 마스터』 – 현대시, 고전시가 중심
어휘력을 위해 얼마나 시간 투자 해야할까?
정해진 시간은 없습니다. 중요한 건 지속성과 반복입니다. 하루에 15분이라도 꾸준히, 문장과 함께 단어를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수능이 가까워질수록 어휘력을 기반으로 한 독해력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국어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능력은 바로 '어휘력'입니다. 지문의 모든 문장은 단어로 이루어져 있고,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명확히 아는 것이 문제의 핵심을 꿰뚫는 열쇠입니다. 오늘 소개한 어휘력 향상법을 바탕으로, 여러분 모두가 국어 실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시길 바랍니다.
더 볼만한 콘텐츠 : 24년도 의대 합격생들이 말하는 겨울방학 OO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