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셀파 독학기숙학원 견쌤입니다.
오늘은 고등학교 1학년 과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고1 과학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기초 개념을 두루 배우며, 앞으로의 과학 학습의 뼈대를 만드는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안녕하세요. 🙂
에듀셀파 독학기숙학원입니다.
저희는 2014년 최초로 독학기숙학원을 설립하고, 매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2025년 서울대 16명, 의예과 38명, 카이스트 등 특수 대학 14명, 연고대 52명, 서성한 71명을 배출했습니다. (2025년 에듀셀파 학원 남양주/양평 대입결과, 중복합격자 포함)
1. 물질과 규칙성
1-1.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물질의 규칙성’ 단원에서는 우주의 기원부터 원소의 주기성까지 이어지는 크고 작은 법칙을 탐구합니다.
① 우주의 시작과 원소의 생성(물리/지구과학)
빅뱅(Big Bang)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핵융합 반응을 통해 수소와 헬륨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두 원소가 별의 중심에서 다시 융합하며, 산소, 탄소, 질소 같은 생명체 구성 원소가 형성되었습니다. 즉, 우리의 몸속 원소들도 별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을 배우게 됩니다.
② 지구와 생명체를 이루는 원소의 생성
우주의 구성요소 중 지구와 생명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소들은 주로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입니다. 이들이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구성 요소로, 어떤 특징과 결합성을 가지는지 배우며, 각 원소의 주기율표 상 위치와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대해 이해합니다.
③ 원소들의 주기성
주기율표는 원자 구조의 규칙성을 시각화한 결과물입니다. 원자번호, 이온화 에너지, 전자 배치 등 각 원소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④ 화학 결합과 물질의 생성
이온결합(NaCl), 공유결합(H₂O), 금속결합 등의 예시를 통해 원자들이 안정된 구조를 이루려는 원리를 배웁니다. 결합의 방식에 따라 물질의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학습합니다.

1-2. 자연의 구성 물질
자연계에서 물질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물질은 고유한 성질과 구성을 지닙니다. 이 단원에서는 자연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과 이들의 결합 방식을 탐구합니다.
① 각종 물질의 결합 규칙성(화학)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안정화되는지를 화학적 원리로 설명합니다.
물질의 상태, 혼합물과 화합물의 차이 등을 이해하게 되며, 특히 혼합물에서의 분리 기술(증류, 여과 등)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
② 생명체 구성 물질의 형성(생명과학)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합니다. 이들 물질이 생명 유지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각각의 화학적 구조와 기능적 특징을 중심으로 배웁니다.
③ 신소재의 개발과 이용(물리)
신소재란 기존에 없던 특성을 가지도록 개발된 새로운 물질을 의미합니다.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고분자 물질 등의 예시를 통해 신소재의 개발과 이들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응용되는지 배웁니다.

2. 시스템과 상호작용
‘시스템과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물리적 힘, 지구의 변화, 생명체의 작용 등 다양한 시스템 간의 연결과 균형을 배웁니다.
2-1. 역학적 시스템
힘이 작용하면 운동이 일어나고, 운동에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뉴턴의 운동법칙, 충돌, 마찰, 탄성 등을 학습하면서
물리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합니다.
① 충격과 역학적 시스템(물리)
충돌과 충격의 개념을 다루며, 특히 탄성 충돌과 비탄성 충돌을 통해 에너지의 이동 및 변화를 학습합니다. 일생생활 속의 자동차 충돌, 스포츠 등에서 나타나는 역학적 시스템을 예로 들며, 실생활과 연결하여 이해해야 합니다.
②역학적 시스템과 안전(물리)
구조물이나 물체의 안전성을 분석하는 법을 배우며, 물체가 안전하게 서있는 조건과 무너지는 조건을 학습합니다.
특히, 빌딩 설계시 고려하는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됩니다.

2-2. 지구 시스템
지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태양 에너지를 바탕으로 기온, 바람, 물의 순환이 조화를 이루며 생태계를 유지합니다. 또한 판구조론을 통해 지진, 화산, 대륙 이동 등의 지각 변화 원리를 학습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구 내부의 역동적인 힘이 지형과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구합니다.
①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지구과학)
지구 시스템 내 에너지 순환, 탄소 순환, 질소 순환 등을 학습하여 자연계의 물질 흐름을 이해합니다. 이를 통해 인간 활동이 자연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합니다.
② 지권의 변화(지구과학)
판구조론에 기초해, 화산과 지진이 발생하는 원리와 이로 인해 지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다룹니다. 이러한 자연현상들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3. 생명 시스템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 분열, 물질 이동, 생화학적 반응 등을 학습합니다.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인 호흡, 광합성, 단백질 합성 과정을 통해 ‘생명은 화학과 물리의 조화’임을 깨닫게 됩니다.
① 생명 시스템의 기본 단위 : 세포(생명과학)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 분열 및 세포 내 물질 이동과 같은 기본적인 생리적 작용을 학습합니다.
② 생명 시스템에서의 화학 변화(생명과학)
호흡기, 광합성 같은 생명체 내 화학적 변화 과정을 통해 에너지가 생성되고, 이용되는 과정을 학습한다.
3. 변화의 다양성
변화의 본질은 에너지의 이동입니다. 고1 과학에서는 화학 반응과 생물의 진화를 중심으로 세상의 다양한 변화 원리를 배웁니다.
① 화학 변화
연소, 산화·환원, 중화 반응 등을 실험하며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관찰합니다. 예를 들어, 식초와 베이킹소다가 만나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하는 이유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② 생물 다양성 유지
생물들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진화하는 과정을 배우며, 생태계 평형의 중요성을 깨닫습니다.

4. 환경과 에너지
마지막 단원에서는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다룹니다. 기후변화, 대기오염, 해양오염 같은 환경 이슈를 다룹니다.
① 생태계와 환경
생태계 구성요소(생산자·소비자·분해자) 간의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을 이해하며 인간의 활동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②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수소에너지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미래의 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방향성을 생각합니다.

고1 과학은 세상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길러주는 학문입니다. 스마트폰의 작동 원리, 날씨 변화, 별의 탄생까지 모든 현상에는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왜 하늘은 파랄까?”, “우주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과학은 다양한 질문에 답변을 찾는 과정입니다 .학창 시절 과학적 사고를 기르다 보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도 키울 수 있습니다 .
고1과학은 이후 과학 과목의 기초가 되는만큼, 기본을 탄탄히 다지는 것이 중요하며, 시험 뿐만 아니라 과학의 본질적인 재미를 느끼려는 마음가짐도 필요합니다. 과학을 통해 세상을 더 넓게 보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가길 바랍니다!
더 볼만한 콘텐츠 : 반수는 낭만이다? 반수해서 100일만에 수의대 가는 방법?
고1 수학 목차 완벽정리 | 단원별 핵심개념 & 공부법 총정리
예비고1 필수 : 내신 + 수능 대비 고1수학문제집 추천
에듀셀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