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외대 재학 중인 송하윤입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이 말은 수험생활을 버티게 한 제 좌우명이었습니다.
수험 기간 동안 누구나 위기를 겪습니다. 모의고사 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슬럼프가 길어질 때 우리는 흔들립니다. 저 역시 그랬습니다. 하지만 끝내 한국외대에 합격하고, 영어 만점을 받기까지의 과정은 제가 스스로의 한계를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수험생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에듀셀파 독학기숙학원입니다.
저희는 2014년 최초로 독학기숙학원을 설립하고, 매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2025년 서울대 16명, 의예과 38명, 카이스트 등 특수 대학 14명, 연고대 52명, 서성한 71명을 배출했습니다. (2025년 에듀셀파 학원 남양주/양평 대입결과, 중복합격자 포함)
불완전한 2등급의 현실, 그리고 깨달음
현역 시절의 제 영어 점수는 항상 89~91점 사이였습니다. 평균 90점대면 “수능에서는 1등급이겠지”라는 안일한 마음을 가졌고, 그 결과는 처참했습니다.
수능 영어 3등급.
그 한 번의 실수는 제 자존심을 완전히 무너뜨렸고, “영어는 절대평가니까 괜찮아”라는 생각이 얼마나 위험한 착각이었는지를 깨달았습니다.
그날 이후 저는 ‘영어는 감이 아니라 체력’이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기초 단어 하나, 구문 하나를 다시 쌓아야 했습니다. 단기간의 벼락치기로는 절대 완성되지 않는 영역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자투리 시간을 모아 만든 85분의 기적
수험생이라면 가장 부족한 것이 바로 ‘시간’입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우리가 낭비하고 있는 짜투리 시간은 하루에도 수십 분씩 쌓입니다. 그래서 저는 스스로에게 약속했습니다.
“하루 1시간 30분, 오롯이 영어에 투자하자.”
하루 세 끼 식사 시간 각 20분(총 60분), 이동 시간 5분, 운동 시간 20분. 이렇게 총 85분을 확보했습니다.
이 시간에는 문제를 풀지 않았습니다. 대신 영어의 ‘기초 체력’을 키우는 데 집중했습니다.
- 식사 시간: 단어 암기 앱으로 어휘 복습
- 이동 시간: 영문 뉴스나 리스닝 파일 듣기
- 운동 시간: 런닝머신 위에서 영어 구문 노트 반복
이 과정을 반복하니, 영어는 공부라기보다 ‘생활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무의식적인 반복이 실력을 만든다는 말을 몸소 체험했습니다.
성적은 서서히, 그러나 확실하게 올라왔다
자투리 시간 학습법의 장점은 ‘꾸준함’입니다. 하루에 10시간 공부해도 며칠 지속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습니다. 반면, 저는 단 한 번도 영어를 쉬지 않았습니다.
처음엔 미미한 변화였습니다. 구문이 자연스럽게 읽히고, 듣기에서 귀가 트이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영어가 더 이상 ‘공부해야 하는 과목’이 아니라 ‘익숙한 언어’로 다가왔습니다. 결과적으로 2024학년도 불수능에서도 영어 1등급, 그것도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때 느꼈습니다.
“꾸준함은 재능을 이긴다.”
슬럼프를 이겨내는 마음의 힘
공부 계획보다 더 어려운 건 ‘마음 관리’입니다. 자투리 시간을 채운다는 건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밥을 먹으며 친구와 대화하고 싶고, 이동 중엔 귀여운 고양이를 보며 쉬고 싶을 때도 많습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제 좌우명을 되새겼습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작은 유혹에 흔들릴 때마다 “이 시간만큼은 내 영어 실력의 밑거름이 된다”라고 스스로 다짐했습니다.
그리고 어느새 ‘습관’이 되어 있었습니다. 습관이 되면, 노력은 더 이상 노력이 아닙니다.
한국외대 합격으로 증명된 ‘꾸준함의 가치’
저는 한국외국어대학교 4년 장학생으로 입학했습니다. 이 성취는 제 삶의 태도 그 자체였습니다.
공부는 ‘시간 싸움’이 아닙니다. ‘의지의 밀도’입니다. 같은 하루 24시간이라도, 얼마나 집중해서, 얼마나 꾸준히 쌓아가느냐가 진짜 실력을 결정합니다.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한마디
여러분, 영어가 두렵다고 느껴질 때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영어는 절대 여러분을 배신하지 않습니다.
매일 10분이라도 꾸준히 반복하면 반드시 변화를 느끼게 됩니다. 핵심은 “꾸준함”과 “자투리 시간의 재발견.” 그리고 무엇보다, 포기하지 않는 마음입니다.
여러분의 오늘이 쌓여 내일의 합격을 만듭니다.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여러분만의 스토리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더볼만한 콘텐츠 : 독학으로 재수 성공했던 방법